Credit
글. 이지연, 김도헌(대중음악 평론가)
디자인. 전유림
사진 출처. Tiny Desk Korea 유튜브

‘타이니 데스크 코리아’ (유튜브, U+모바일tv)

이지연: ‘작은 책상 앞, 한계 없는 음악의 세계(Tiny But Not So Tiny Concert)’를 추구하는 미국 공영 라디오 방송 NPR 뮤직의 ‘타이니 데스크 콘서트’가 한국판 버전으로 재탄생되었다. LG유플러스의 콘텐츠 전문 스튜디오 ‘STUDIO X+U’가 ‘타이니 데스크 콘서트’의 공식 라이선스를 확보해 진행하는 ‘타이니 데스크 코리아’는 김창완 밴드가 안은경 명인의 태평소 연주와 함께 ‘아리랑’을 오프닝 곡으로 선보이며 한국의 ‘타이니 데스크 코리아’만이 보여줄 방향성을 예고했다. 작고 아늑한 공간에서 아티스트가 밴드 라이브를 선보인다는 ‘타이니 데스크 콘서트’의 정체성은 유지하면서 한국적인 색깔을 더한다. 

 

김창완은 ‘타이니 데스크 코리아’의 첫 게스트를 장식했다. 그는 ‘실제 현장에서 공연을 해본 소감’에 대해 묻는 질문에 “사실 화려한 무대도 좋고 웅장한 무대도 좋지만” 이 무대야말로 “오히려 더 음악을, 또 진심을 전할 수 있는 자리”라고 답했다. 가까워진 거리감만큼 아티스트는 무대 위에서 관객들과 더욱 밀접한 소통과 호흡을 주고받으며 함께 공연을 만들어 나간다. “흥에 겨워서인지 생전 안 하던 앙코르를 했어요.”라는 그의 말처럼 예정에 없던 앙코르 곡까지 흔쾌히 선보인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해당 프로그램이 후보정 없이 진행된다는 점은 온라인으로 공연을 보는 시청자들에게도 현장감을 전할 수 있는 최적의 요소다. 기타, 드럼, 키보드 등 풍성하게 들리는 악기 고유의 소리, 때로는 아티스트의 숨소리나 주변의 미세한 잡음까지 마이크에 들어갈 정도의 생생한 라이브는 청각적인 즐거움을 극대화한다. 원테이크 촬영 역시 날것의 묘미를 선사하는 또 하나의 방법이다. 이를테면 ‘너의 의미’ 간주 중 기타 애드리브 부분에서 발생한 약간의 실수는 오히려 다 함께 웃고 지나갈 수 있는 기분 좋은 모멘트를 만들어내는 것처럼 말이다. 김창완이 인터뷰에서 말한 “거칠지만 살아 있는 음악이 있는 공간”답다. 화려한 무대 세트나 조명, 연출 그 어느 것 하나 없지만 ‘타이니 데스크 코리아’가 무대를 채워나가는 자신만의 방식이다.

카일리 미노그 ‘Tension’

김도헌(대중음악 평론가): 카일리 미노그는 마돈나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과감한 섹스 어필을 통해 스스로를 결코 잊히지 않을 대중문화의 아이콘으로 역사에 각인했다. 하지만 카일리의 커리어를 영생하게 만든 핵심은 이미지가 아닌 음악에 대한 진지한 탐구였다. 틴에이지 버블검 슈퍼스타로 경력을 시작한 카일리는 1990년대 초 최악의 침체기를 겪으면서도 작사, 작곡에 적극 참여하고 깊고도 오묘한 전자음악의 세계를 파고들며 창작 자아를 날카롭게 가다듬었다. ‘Can’t Get You out of My Head’ 이전에 닉 케이브와 함께한 ‘Where the Wild Roses Grow’와 토와 테이, 피치카토 파이브, 가비지, 비요크, 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를 초빙한 앨범 ‘Impossible Princess’가 존재했음을 잊어선 안 된다. ‘Tension’은 2010년대 디스코 팝 리바이벌을 ‘Disco’로 압축하며 또 하나의 전성기를 맞이한 카일리가 2020년대를 맞이하는 새 앨범이다. 일렉트로 팝과 유로 댄스, 하우스의 시대를 관통했던 베테랑의 관록과 여유로운 유혹이 어우러진 명작이다. 틱톡 세대마저 열광케 하며 새로운 프라이드 행진곡으로 자리 잡은 강력한 올해의 싱글 후보 ‘Padam Padam’부터 세기말 클럽 문화를 옮겨온 ‘Tension’, DJ 올리버 헬덴스와의 협업 ‘10 out of 10’까지 진하고 빽빽한 웰메이드 싱글이 이어진다. 경력에 손꼽을 앨범이며 팝의 교과서라 해도 손색이 없다. 카일리는 ‘Tension’으로 1988년 데뷔 이후 다섯 연대에 걸쳐 UK 앨범 차트 넘버원에 오르는 대기록을 세웠다. 창작의 주도권을 확립한 완전체 디바의 업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