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dit
글. 오민지, 나원영(대중음악비평가)
디자인. 전유림
사진 출처. 침착맨 유튜브

‘침착맨’ (유튜브)

오민지: 일상 스트리밍, 브이로그, ‘겜방’, ‘먹방’, ‘쿡방’, 영화 리뷰, 토론, 전문가의 특강까지. 관심사에 따라 알고리즘이 인도하는 유튜브 세상을 부유하다 보면 AKMU 이찬혁의 말처럼 “찾으려고 하지 않아도” 마주치게 되는 유튜브 채널 ‘침착맨’은 채널의 콘셉트를 규정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AKMU가 출연한 ‘악동뮤지션과 악질뮤지션’, ‘남매 반드시 발생하는 상황 월드컵 (with 악뮤)’ 편 역시 한 번의 스트리밍(편집본은 2편)에서도 아티스트가 보여줄 수 있는 콘셉트와 주제를 규정하지 않고 최대한 다양하게 ‘왔다 갔다’ 한다. 근황 토크, 신곡 소개, 뮤직비디오 리액션과 비하인드, 챌린지 안무 배우기와 같이 이번 컴백 이야기부터 ‘K팝스타’ 출연 이유, 컬래버레이션하고 싶은 아티스트, 남매로 일하는 것의 고충이나 전 세계 남매들이 공감할 만한 ‘남매 반드시 발생하는 상황 월드컵’에 이르기까지 말이다.

 

‘남매 케미’란 무엇인가. ‘악동뮤지션과 악질뮤지션’의 시작에서 자신들을 AKMU 이찬혁과 “영원한 이찬혁의 동생 이수현”으로 소개하다가도 실수로 이찬혁의 음료에 입을 댈 뻔하다가 정색하며 툭 내려놓는 이수현과 ‘남매 반드시 발생하는 상황 월드컵 (with 악뮤)’에서 동생을 열받게 하는 게 삶의 이유이자 ‘소확행(소소하고 확실한 행복)’도 아닌 ‘대확행’이 되어버린 이찬혁을 보고 있노라면 생기는 의문이다. “사실 이제 새로운 그림은 저희가 친하게 지내는 거예요.”라는 이찬혁의 말에 “그거 되게 어려운 일인데”라고 공감하는 침착맨의 모습이나 “저희는 오래오래 음악을 하고 싶어요. 그래서 그 문제가 될 만한 걸 싹을 다 잘라버렸어요.”의 예시가 따로 차를 타고, 따로 밥을 먹는 악동뮤지션의 ‘남매 케미’는 ‘왔다 갔다’ 하는 토크 사이에서도 중심을 잡아준다. 그리고 일할 때만큼은 악수 한 번 하고 “오늘 잘해보자, 파이팅! 우리는 최고의 남매 듀오 아자아자!”라고 외치는 이 남매 간 최소한(이지만 사실상 그들에겐 최대인)의 애정은 소소한 재미와 묘한 따뜻함까지 준다. ‘왔다 갔다’ 하며 뭐든 다 다루는 토크쇼 같지만 게스트에게서 끌어낼 핵심을 안다는 얘기다. 생각 외로 정말 침착하게 재밌는 토크쇼다.

‘가는 선’ - 위댄스(Wedance)
나원영(대중음악비평가): 위댄스가 인디 록이면서도 ‘댄스 팝’이 되는 많은 까닭 중 하나는 사운드가 구성되는 방식에 있다. 2010년대 내내 “그저 하고 싶다.”는 대로 제작·유통해온 경력의 범위를 넓힌 앨범 ‘Dance Pop’에서도 이미 원숙한 식으로 말이다. 이는 그러니까 전자적인 드럼·베이스 비트와 짙은 효과의 전기기타 연주를 결합하는 것인데, ‘가는 선’에서 두 갈래의 소리는 특히나 인상적인 두께로 부풀려졌다. 우선 묵직한 베이스라인이 부글부글 끓어오르고 정박의 리듬이 일정히 쪼개지면서, 몸을 자유로이 놀릴 만한 ‘댄스’의 감각이 생겨난다. 중반부에 등장하는 위기(Wegui)의 전기기타가 음색을 생각보다 과격하고 거칠게 조정하며 ‘록’적인 특성이 덧붙여지는 셈이다. 어떠한 트랙들에선 양쪽의 소리가 불가분하게 뒤섞이며 굉장한 화학작용을 불러일으키지만, 이번에는 서로가 나서는 위치를 주고받으며 형상을 만들어 나간다. 아직 남아 있는 요소 중에서 ‘팝’의 몫은 위보(Wevo)의 가창과 멜로디가 도맡는다. 삐삐·EE·넘넘의 이윤정으로도 선을 그어볼 정도로 분방하게 흥얼거리는 보컬은 “그냥 아무 춤이나 막 나와요” 하는 듯 구절들을 내뱉지만, 단순하게 솔직한 만큼 깊숙하게 진실해지는 노랫말이 생각보다 서정적인 선율에 얹히며 개성 있는 합을 이룬다. 트랙은 지난 음반과 닮은 댄스‧록 쪽에 더 기울어 있지만, 곡이 실린 신보 ‘SUM’은 균형 잡힌 구도를 유지하면서도 차분하게 심화한 서정성을 탐구한다. 그럼에도 위보의 퍼포먼스처럼 “정신없이 뒤뚱뒤뚱 마음까지 흔들흔들” 춤출 수 있는 게 위댄스의 음악이겠지만, 막춤의 선을 타고 전해지는 정서에는 언제나 슬픔이 서려 있다. ‘가는 선’에서는 이들이 발 디딘 곳이 “엄청 가느다란 선이었어 / 그 위에 내 발이 있어”라는 점을 보이며 전달되는데, 그것이 아마 ‘시티펑크’로서의 ‘인디’를 채워줄 테다. 그러나 “투박한 내 등산화는 울고불고” 하는 외줄타기에도 불구하고, 고정되지 않은 움직임을 10년 넘게 생산해오며 지속하는 데에 위댄스의 굳건한 힘이 있다. 그 이름처럼, 우리는 “그냥 살아있는 춤을 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