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dit
서성덕(대중음악 평론가)
디자인김민경

지난주 2위로 데뷔했던 배드 버니의 ‘DeBÍ TiRAR MáS FOToS’가 1위로 올라왔다. 2020년 이후 배드 버니는 앨범 4개를 연이어 1위에 올렸다. 본작은 일반적으로 신보를 공개하는 금요일이 아닌 일요일에 발매되었고, 이틀을 제외한 첫 5일간의 활동만 1주 차 성적에 반영되며 2위를 차지했다. 주간 성적은 지난주 12.2만 단위에서 이번 주 20.3만 단위로 67% 증가했다. 이는 이틀을 추가하여 기대할 수 있는 산술적인 평균 40%보다 크고, 데뷔 주간 이후 통상 소비가 감소하는 것을 감안하면 한층 더 놀랍다.
부문별 성적을 보면, 스트리밍이 대부분으로 2억 6,403만 회, 19.5만 단위 상당이다. 스트리밍 톱 앨범 차트에서 2주째 1위다. 앨범 판매는 7,000단위로, 톱 앨범 세일즈 차트 8위다. 주간 앨범 스트리밍 2.6억 회는 최근 켄드릭 라마의 ‘GNX’가 기록한 3.8억 회 이후 가장 높다. 참고로 라틴 앨범으로 스트리밍 최고 기록을 가진 배드 버니 본인의 전작 ‘Un Verano Sin Ti’는 1주 차 3.6억 회, 2주 차에 크게 감소하여 1.8억 회였다. ‘DeBÍ TiRAR MáS FOToS’의 2주 차 성적을 높이 사는 또 하나의 이유다.
이번 주 2위는 테일러 스위프트의 ‘Lover: Live From Paris’로, 최근 바이닐로 재발매되면서 차트에도 재진입했다. 주간 성적은 20.2만 단위로 1위와 불과 1,000단위 차이다. 앨범 스트리밍이 없고 전부 바이닐과 디지털 다운로드 앨범 판매다. 톱 앨범 세일즈 1위로, 테일러 스위프트의 15번째 1위다. 이는 제이-Z의 1위 앨범 14장을 앞서 역대 최다 기록이다. 아티스트 공식 홈페이지에서만 주문을 받은 바이닐 판매는 16.1만 장이다. 이는 2020년대에 발매된 라이브 앨범 중 최고 성적이며, 라이브 앨범의 바이닐 판매고로는 역대 최대 수준이다. 테일러 스위프트의 18번째 톱 10 앨범이다. 라이브 앨범으로는 2023년 ‘Folklore: The Long Pond Studio Sessions’ 이후 두 번째다.
상위권은 지난주와 비슷하다. 시저의 ‘SOS’는 지난 몇 주간 최정상권이 어지럽게 바뀌는 중에도 꾸준히 3위를 유지하고 있다. 주간 성적은 10.2만 단위다. 켄드릭 라마의 ‘GNX’도 지난주와 같은 4위다. 5위는 지난주 1위로 데뷔했던 릴 베이비의 ‘WHAM’이다. 

레이디 가가와 브루노 마스의 ‘Die With A Smile’이 3주 연속 1위를 지키고 있다. 브루노 마스는 37주간 1위로, 마이클 잭슨의 솔로 활동 기록과 같은 역대 8위다. 그 바로 위로는 비욘세의 46주간 1위다. 라디오 송 차트 2위, 디지털 송 세일즈 차트는 3위다. 스트리밍 송 차트에서 2주간 1위를 차지한 후 이번 주 3위다. ‘Die With A Smile’의 스트리밍 성적 자체는 지난주보다 4% 증가했다. 더 큰 이유는 배드 버니다.
배드 버니의 ‘DeBÍ TiRAR MáS FOToS’ 앨범 활동이 일주일을 꽉 채우면서 핫 100과 글로벌 200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핫 100에서는 톱 10에 3곡을 올렸다. 2위 ‘DtMF’, 3위 ‘BAILE INoLVIDABLE’, 8위 ‘NUEVAYoL’이다. 배드 버니는 톱 10 히트 곡을 총 15개를 가지고 있다. 그중 스페인어 노래는 13곡이고, 이는 모든 아티스트 중 영어가 아닌 노래로 톱 10 최다 기록이다. ‘DtMF’는 스트리밍 송 차트 1위다. 글로벌 200에서는 ‘DtMF’가 지난주 12위에서 1위로 급상승하며, 배드 버니의 5번째 1위곡이 되었다. 이는 테일러 스위프트와 함께 솔로 아티스트로 가장 많은 기록이다. 모든 아티스트 중에는 방탄소년단이 7곡으로 제일 많다. 이번 주 톱 10 중 5곡이 ‘DeBÍ TiRAR MáS FOToS’ 앨범에서 나왔다. 배드 버니의 역대 톱 10은 24곡이다. 이는 드레이크의 35곡, 테일러 스위프트의 33곡 다음이다.
로제와 브루노 마스의 ‘APT.’는 지난주와 같은 5위다. 디지털 송 세일즈 차트는 지난주 2위로 1위다. 로제는 K-팝 여성 아티스트로 첫 1위다. 팀 활동으로는 블랙핑크의 ‘How You Like That’과 ‘Ice Cream’이 각각 2위까지 오른 바 있다.

테일러 스위프트의 앨범 ‘Lover (Live From Paris)’가 세운 이번 주 기록에는 사연이 있어 보인다. 스트리밍과 CD가 없고, 바이닐과 디지털 앨범만 있다. 여기에는 생각보다 복잡한 역사가 있다. 테일러 스위프트는 2019년 ‘Lover’ 발매 직후 앨범 구매 이벤트를 통해 선발된 약 2,000명의 팬을 대상으로, 프랑스 파리에서 도시의 별명을 빌려 ‘사랑의 도시(City of Lover)’라는 특별 공연을 했다. 이후 예정되었던 투어 ‘Lover Fest’는 팬데믹으로 취소되었고, ‘City of Lover’는 ‘Lover’의 유일한 공식 공연 기록이 되었다. 테일러 스위프트가 공연에 복귀한 것은 2023년 3월 디 에라스 투어다.
‘City of Lover’ 실황은 2020년 미국 ABC에서 방영되었으나, 전체 16곡의 세트리스트 중 ‘Lover’ 수록 곡 8개만 공개되었다. 이 8곡은 방송과 함께 개별적인 디지털 싱글 및 스트리밍으로도 출시되었다. 실물 앨범은 2023년 공식 홈페이지에서 한정판 바이닐로 최초 판매되어, 빌보드 200 58위로 진입했었다. 당시 구매 가능한 바이닐 물량은 1.3만 장으로 알려져 있다. 아직 팬데믹의 여파가 남아 있는 시기에 정규작도 아닌 바이닐의 생산 여력에는 한계가 있었을 것이고, 덕분에 2023년 버전은 테일러 스위프트의 앨범 중에서도 가장 희귀한 아이템이 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2025년 1월 7일, 공식 홈페이지는 72시간 동안 바이닐을 한정 판매했다. 하지만 전량 매진까지 1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이번 주 차트 성적 집계 마지막 날인 1월 16일에는 단 6시간 동안 디지털 앨범을 추가 판매했다. 따라서 이번 주 ‘Lover: Live From Paris’의 성적은 한정판 바이닐 배송 및 디지털 앨범 판매 실적을 합친 것이다. 이 앨범의 모든 트랙을 스트리밍으로 들을 수 있으나 전부 싱글 형식이고, ‘Lover: Live From Paris’ 앨범의 스트리밍 버전은 없으므로 앨범 스트리밍 실적도 없다. 만약 스트리밍 서비스에 앨범까지 출시하여 성적을 더했다면 배드 버니를 제치고 어렵지 않게 1위 앨범을 추가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앨범의 가치는 차트 순위나, 희소성만으로 말할 수 없다. 팬데믹으로 중단된 투어부터 역사적인 디 에라스 투어까지 그리고 ‘Cruel Summer’로 대표되는, 한때 실패했다고 여겨진 ‘Lover’ 앨범의 복권에 이르기까지, ‘Lover: Live From Paris’는 테일러 스위프트의 팬이라면 그 의미가 각별할 수밖에 없다. 팬데믹 이후 새로운 앨범과 과거 앨범의 재녹음과 디 에라스 투어가 연이어 쏟아지는 와중에도 테일러 스위프트 본인도, 팬들도 그걸 잊지 않았다. 그렇게 어떤 앨범은 발매 자체로 사랑의 축제(Lover Fest)가 된다.

로제, 브루노 마스의 ‘APT.’가 핫 100 진입 13주 차로 5위다. 스트리밍 송 9위, 디지털 송 세일즈 1위, 라디오 송 11위다. 라디오 성적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로 핫 100 순위의 천장이 아직 열려 있다. 앨범 ‘rosie’는 빌보드 200 진입 6주 차로 17위다. K-팝 여성 솔로 아티스트 최장 기록이다. 6주 차 순위로 역대 K-팝 최고 기록이다. 톱 스트리밍 앨범 19위, 톱 앨범 세일즈 11위다. 로제는 아티스트 100 25위다.
지민의 ‘MUSE’는 빌보드 200 진입 26주 차로 119위다. K-팝 솔로 아티스트 최장 기록이다. ‘Who’는 핫 100 진입 25주 차로 41위다. 스트리밍 송 29위다. 디지털 송 세일즈 차트에 23위로 재진입했다. 지민은 아티스트 100에 69위로 재진입했다.
스트레이 키즈의 ‘HOP’은 빌보드 200 진입 5주 차로 80위다. 톱 앨범 세일즈 5위다. 스트레이 키즈는 아티스트 100 32위다.
톱 앨범 세일즈에서 트와이스의 ‘STRATEGY: 14th Mini Album (EP)’ 12위, 엔하이픈의 ‘ROMANCE : UNTOLD’ 14위, 에이티즈의 ‘GOLDEN HOUR : Part.2 (EP)’ 46위다.
이머징 아티스트 차트에서 아일릿은 26위다.
글로벌 200에서 K-팝 아티스트 성적은 다음과 같다.

Copyright ⓒ Weverse Magazine.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